본문 바로가기
교육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이론(의사결정 모형)-밀러,루벤슨,보셔,크로스

by 프로이덴프로이데 2023. 2. 17.
반응형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이론-의사결정 모형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동기성향에 대한 연구와 의사결정 모형이 있다. 

의사 결정모형은 참여행위를 지배하는 조건들은 인성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 사회적인 것으로 분리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여기서의 초점은 동기보다는 참여행동을 이끄는 의사결정에 있다. 

이 분야의 모든 이론들은 학습욕구의 기원보다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들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 이러한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로는 밀러(Miller)의 힘장 모형, 루벤슨(Ruvenson)의 기대유인가 모형, 보셔(Boshier)의 자아환경 일치 모형, 크로스(Cross)의 반응연쇄 모형 등이 대표적이다. 

 

 

1. 밀러의 힘장 모델(force-field model) 

밀러는 개인의 욕구는 진공상태에서 작동하지 않으며, 그것은 그것의 표현을 결정하고 공유하는 사회구조 내에 잠재되어 있다. 밀러의 힘장 모델은 교육 참여와 관련하여 성인 학습자의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이론적 프레임 워크이다. 이 모델은 개인이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하거나 방해하는 추진력과 억제력이 있다는 생각에 기반한다, 

밀러의 힘장 모델에 따르면 교육 참여에 대한 개인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이 있는데 이는 개인의 필요와 목표, 학습을 위한 가용 자원과 기회, 개인의 참여를 방해할 수 있는 장벽이나 장애물이다. 

개인의 개인적인 필요와 목표는 교육 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원동력이다. 예를 들어, 개인은 자신의 직업 전망을 개선하거나 소득 잠재력을 높이거나 단순히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려는 욕구를 가질 수 있다. 

학습을 위한 가용 자원 및 기회 또한 교육 참여에 대한 개인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여기에는 재정 자원, 시간 가용성 및 교육 프로그램 또는 기관에 대한 액세스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교육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장벽이나 장애물은 교육 목표를 추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제지력이다. 여기에는 시간이나 돈의 부족, 가족 책임, 기타 개인적 또는 물리적 제약과 같은 요인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추진력과 억제력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자와 교육 기관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성인 학습자를 격려하고 지원하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개인이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장벽을 극복하도록 돕기 위해 재정 지원, 유연한 일정 또는 기타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2. 루벤슨의 기대유인가 모델(expectancy-valence model)

루벤슨의 기대유인가 모델(EVM)은 교육참여가 기본적으로 기대와 유인가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결정되며, 여기서 기대와 유인가는 '현재의 요구'와 환경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대(expectancy)는 자신의 노력이 특정한 결과나 목표로 이어질 것이라는 개인의 믿음을 의미한다. 특정 행동이나 행동이 원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인식된 확률이다. 예를 들어, 개인은 시험을 위해 열심히 공부하면 좋은 성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믿을 수 있다. 

반면에 유인가(valence)는 개인이 특정 결과 또는 목표에 부여하는 가치를 나타낸다. 개인이 결과에 부여하는 감정적 중요성이다. 예를 들어, 개인은 성취감으로 이어지거나 미래의 경력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다. 

기대는 '지각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고, 환경에 실제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참여를 촉진하거나 금지하려는 기관적인 정책을 통해 형성되는 세계에서 자신의 위치에 대한 더 심화되고 일반화된 감각(위계구조의 정도와 구성원 및 준거집단 양쪽의 가치)을 의미한다. 환경에 대한 지각은 또한 '능동적 준비성'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는 부분적으로 개인의 잠정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기질 및 가치를 결정한다. 요구에 대한 경험과 '기대'가 참여행위를 결정하는 힘인 것이다. 

루벤슨은 성인교육의 참여를 과거의 사건이라기보다는 현재의 환경에서 비롯된 의사결정으로 보는 성인교육참여의 '탈 역사적'이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간접적으로 밀러가 언급한 '지위 그 자체;가 어떻게 변화하는가 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이 이론은 오랫동안, 대다수의 사람들은 몇 가지 조직화된 학습의 형태를 수행해 왔는데, 이는 장기간의 안정된 가치 혹은 심리적 행태라기보다는 사람들의 현재의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지위로부터 참여행동을 예견하기 쉽다고 설명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루벤슨의 모형에서는 성인학습에의 참여동기가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의 총체적 영향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이 두 요인에 대한 주관적 기대 수준에 의해 참여가 결정된다고 본다. 즉, 이 모형에 있어서는 참여의 동기형성과 그 강화가 외적인 환경요인의 촉진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개인적 차원에서의 긍정적 인식과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본다. 

 

3. 보셔의 자아환경 일치모델(congruency model)

보셔의 자아환경 일치 모델은 성인교육에의 참여여부나 중도탈락의 여부가 학습자들이 자기 자신을 어떠한 존재로 파악하고 있는가와 교육환경(자아와 동료학습자, 자아와 교사, 자아와 제도적 환경 등)과의 일치, 불일치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성인교육의 참여와 탈락현상은 참여자의 자아와 교육환경 사이의 불일치의 정도에 따라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교육 활동 참여는 개인의 가치와 교육 활동이 자신의 가치와 일치하는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렬 또는 일치성은 가치, 역량, 및 영향의 세 가지 요소 측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첫째, 가치는 교육의 목표와 결과에 대한 개인의 신념과 태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기 계발을 중시하는 개인은 개인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활동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더 강할 수 있다.  

둘째, 역량은 교육 활동에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개인의 지각된 능력을 의미한다. 개인이 교육 환경에서 배우고 성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느낀다면 참여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셋째, 정서는 교육 활동에 대한 개인의 정서적 반응을 의미한다. 개인이 학습을 즐기고 교육 경험에서 만족감을 느낀다면 교육에 계속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개인의 개인적 가치, 역량 및 영향이 교육 활동의 목표 및 결과와 일치할 때 교육에 참여하고 혜택을 인식할 가능성이 더 크다. 그러나 개인의 가치관과 교육 활동 사이에 일치성이 부족할 때 참여 가능성이 낮고 교육의 상당한 이점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4. 크로스의 반응연쇄 모델(COR:chain of response model)

크로스는 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요인들에 대한 반응의 결과 혹은 연쇄적 반응으로서 성인교육 참여현상을 설명한다.  설득과 태도 변화의 맥락에서 의사소통의 복잡한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이론적 프레임 워크이다. 이 모델은 의사소통 과정이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일련의 반응을 포함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설득과 태도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단계가 포함된다. 

1) 주의: 첫 번째 단계는 수신자의 주의를 끄는 것이다. 보낸 사람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받는 사람의 주의를 끌 방법을 찾아야 한다. 

2) 이해: 두 번째 단계는 수신자가 전달되는 메시지를 이해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보낸 사람은 메시지가 명확하고 쉽게 이해되도록 해야 한다. 

3) 양보: 세 번째 단계는 수신자가 메시지에 확신을 갖고 메시지에 대한 반응으로 태도나 행동을 바꾸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4) 유지: 네 번째 단계는 수신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태도나 행동을 유지하는 것이다. 

5) 행동: 마지막 단계는 수신자가 새로운 태도나 행동에 따라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이 모델은 의사소통 과정 각 단계의 중요성과 각 단계의 성공적인 설득과 태도 변화를 방해할 수 있는 단절 가능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명확하지 않거나 이해하기 쉽지 않으면 수신자가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메시지로 확신하지 못하고 궁극적으로 태도나 행동을 바꾸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크로스의 모델은 그것이 성인의 교육참여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던 것에 비해서 성인의 교육참여를 제대로 설명하거나 예측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과 설득의 복잡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프레임 워크로서 마케팅, 홍보 등 다양한 맥락에서는 적용될 수 있다. 의사소통 과정의 단계를 이해함으로써 의사소통자는 청중의 관심을 끌고 이해하며 궁극적으로 설득과 태도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메시지를 디자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